0. "월급쟁이가 주식 투자로 투잡한다" 시리즈
이 글은" 월급쟁이가 주식 투자로 투잡한다"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이 글을 보시기 전에 아랫글을 꼭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2022.06.28 - [금융 재테크] -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자산배분 총정리 - 자산배분시리즈 (1)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자산배분 총정리 - 자산배분시리즈 (1)
0. "월급쟁이가 주식 투자로 투잡한다" 시리즈 이 글은" 월급쟁이가 주식 투자로 투잡한다"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이 글을 보시기 전에 아랫글을 꼭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2022.06.
quantjs.tistory.com
2022.06.30 - [금융 재테크] - [자산배분]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영구포트폴리오 - 자산배분시리즈 (2)
[자산배분]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영구포트폴리오 - 자산배분시리즈 (2)
0. "월급쟁이가 주식 투자로 투잡한다" 시리즈 이 글은" 월급쟁이가 주식 투자로 투잡한다"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이 글을 보시기 전에 아랫글을 꼭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2022.06.
quantjs.tistory.com
이전 글에서 자산배분중 하나인 영구포트폴리오가 누구에게 필요한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이번에는 자산 배분을 하기 위해서 금에 투자해야 한다고 하는데 금 투자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막막할 것 같아 금에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자산 배분을 위한 금 투자 방법 5가지
- 실물 금
- 골드뱅킹
- 금 펀드
- 금 시세를 추종하는 ETF
- KRX 한국 거래소에서 금 현물을 계좌로 매매
그럼 5가지 방법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면서 영구포트폴리오를 운영함에 있어서 위 5가지 중 무엇이 가장 적합한 투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실물 금을 사는 방법
실물 금을 사는 것의 장점은 내가 직접 금을 보관하고 있기에 전산상으로 금을 가지고 있는 것보다 안전하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전쟁이 나서 전산상으로 마비가 될 경우를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단점으로는 실물 금을 갖기 위해서는 수수료가 적게는 20% 많게는 40%까지도 발생하는 점입니다.
구입은 금은방에 가서 구입하면 됩니다.
아니면 중고 거래를 통한 개인 간 거래가 있어서 부가세에 대한 부담은 없어지겠지만 금 자체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비추천드립니다.
3. 골드 뱅킹을 통해 투자하는 방법
가까운 은행에서 골드 뱅킹 통장을 하나 만드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금 1g씩 사서 통장에 담는 방식입니다.
금을 사고팔 때마다 수수료가 1%씩 발생합니다.
그리고 금의 시세차익을 얻게 된 경우에는 15.4%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크게 장점이라고는 없는 투자 방법입니다.
4. 금 펀드를 통해 투자하는 방법
증권 계좌를 하나 개설한 후에 금 펀드를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정확히 이야기하면 금 펀드를 산다는 의미는 금을 캐는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를 산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기업들의 주가 움직임이 금의 시세 움직임과 유사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금에 투자한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펀드에 속해있는 기업들이 펀드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수익률 또한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할 수 있는 펀드들로는 블랙록 월드 골드, IBK 골드 마이닝, KB 스타 골드 등등이 있습니다.
사고파는 수수료는 펀드이므로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보유하고 있는 동안에 연 1~2%의 보수비용은 발생할 것입니다.
금의 시세 차익을 얻게 된 경우에는 15.4%의 세금을 부과해야 합니다.
5. 금 ETF를 통해 투자하는 방법
증권 계좌에서 금 ETF 종목을 주식처럼 매수하는 방법입니다.
금 ETF에는 레버리지 ETF도 있어 레버리지 투자도 가능합니다.
종목으로는 KODEX 골드선물(H), KINDEX 골드선물레버리지 등등이 있습니다.
참고로 (H) 의 의미는 달러의 환율의 변동성에 대해 상관없이 금의 시세만 추종하겠다는 의미입니다.
레버리지는 추종하는 가격 변동이 2배라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KODEX 골들 선물이 가격이 1000원 올랐으면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는 2000원이 오르는 것이고 반대로 1000원이 떨어지면 2000원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금을 ETF로 투자하는 것은 적은 금액으로 투자가 가능하고 매매 비용 또한 저렴하며 매수와 매도가 쉽습니다.
금의 시세 차익을 얻게 된 경우에는 15.4%의 세금을 부과합니다.
국내 ETF도 있지만 해외 ETF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유명한 ETF로는 GLD와 IAU가 있습니다. 티커가 GLD와 IAU이므로 검색하실 때 GLD와 IAU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이 ETF들은 국제 금 가격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GLD는 가장 오래된 거래금액이 가장 큰 대표적인 ETF이어서 거래하기 위한 초기 금액이 큰 편이지만 IAU는 거래금액이 GLD에 비해 저렴하고 수수료가 GLD보다 경제적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해외 주식은 1년 동안 250만원 이상 수익 실현을 하게 되면 양도세 22%를 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6. 금 현물 시장에서 금을 투자하는 방법
금 현물 전용 계좌를 개설하고 KRX 한국거래소에서 금 현물을 1g씩 사서 담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산상으로 사는 방법이긴 하지만 실제 금을 사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물로 출고가 가능하게 됩니다.
이 방법에서의 장점은 시세 차익에 대한 수수료가 비과세입니다. 엄청나게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수 수수료 또한 0.2% 이하로 매우 저렴합니다.
단점으로는 국내 금의 시세를 추종하기 때문에 국제 금의 시세와는 괴리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그래프에서 보듯이 국내 시세가 더 높이 올라갈 수도 있기 때문에 단점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7. 금을 매수하기 전에...
지금까지 금을 투자하는 방법 5가지 (실물 금, 골드뱅킹, 금 펀드, 금 시세를 추종하는 ETF, KRX 한국 거래소에서 금 현물을 계좌로 매매)를 살펴보았습니다.
5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기 전에 우선 금이라는 것이 우리는 안전 자산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인 시세를 보게 되면 주식보다 변동성이 심한 자산이 바로 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년부터 22년까지 장기적으로 투자하면서 MDD가 -61.78%입니다.
미국 주식보다 MDD가 높습니다.
그리고 한해의 가장 안 좋았던 수익률이 -32.6%입니다.
그리고 1980년 고점에 매수했다면 2007년 정도까지는 물려 있었습니다.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경제가 불황이고 물가가 불안정할 때 빛을 보는 자산이 바로 금이며
장기적으로 투자할 때 우상향 하는 자산군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시세 차익에 대한 매수와 매도에 대한 수수료가 적은 것이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 이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2021.09.04 - [금융 재테크] - 주식 입문자(주린이)를 위한 주식 투자 방법 알아보기
주식 입문자(주린이)를 위한 주식 투자 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바이너리 퀀트입니다. 0. 투자 방법이 없으신가요? 주식 입문자이신가요? 흔히들 요즘 주린이라고 표현하던데 주린이신가요? 주식을 투자하는 방법을 찾고 싶으신가요? 나는 주식
quantjs.tistory.com
2021.09.19 - [금융 재테크] - 주식으로 번돈 재투자를 해야 하나 아니면 사용해야 하나? - 경제적 자유, 복리
주식으로 번돈 재투자를 해야 하나 아니면 사용해야 하나? - 경제적 자유, 복리
안녕하세요. 바이너리퀀트입니다. 많은 사람들은 주식으로 번 돈을 재투자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번 만큼은 빼고 원금만 재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모를 때가 있습니다. 이 물음에 정답이 있
quantjs.tistory.com
'바이너리 퀀트 > 정적 자산 배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달리오 보다 수익률 높은 포트폴리오 만드는 방법 feat.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 자산배분(6) (1) | 2022.07.06 |
---|---|
올웨더포트폴리오 45년 중에 지금 시작하기 딱 좋은 이유 - 자산배분(5) (0) | 2022.07.06 |
[자산배분]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영구포트폴리오 - 자산배분시리즈 (3) (0) | 2022.06.30 |
[자산배분]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영구포트폴리오 - 자산배분시리즈 (2) (0) | 2022.06.30 |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자산배분 총정리 - 자산배분시리즈 (1) (1) | 2022.06.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