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손실을 줄이는 방법 feat. MDD 줄이기
주식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내 전략의 MDD를 줄여야 합니다.
MDD가 무엇인지? MDD를 왜 줄여야 하는지는 이전 글에서 살펴보았습니다.
MDD에 연재 시리즈 중 2번째 편이므로 아래 링크에서 1편을 꼭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2022.10.01 - [퀀트] - 주식 손실 났네... MDD만 알았더라면... feat. 퀀트 투자
주식 손실 났네... MDD만 알았더라면... feat. 퀀트 투자
"당신의 주식 투자 기간 동안 주식 계좌의 투자 손실이 어떻게 되었었는지 알려주세요." 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바로 떠오르는 대답을 못 찾으셨다면 잘 찾아오셨습니다. 내 주식 계좌의 투자 손
quantjs.tistory.com
그럼 MDD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자 그럼 고고!!
퀀트 전략 만들기
저번 편에 만들었던 PER PBR 전략을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퀀트 전략 하나를 짜면 보통 MDD가 50%를 넘어가는 경우는 꼭 발생하게 됩니다.
아래는 PER PBR 전략에서 나온 최악의 10개 DD입니다.
20년 동안 MDD가 20%가 넘는 경우는 6번이 있었고, 40%를 넘는 경우는 2번이나 있었습니다.
만약 최악의 시나리오를 써보는 것입니다.
정말 좋은 시기의 주식시장에서 잘 투자를 해서 20억을 벌고 이제 노년의 시기가 되어 은퇴하려는 시점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그런데 하필 최악의 MDD인 50%를 넘는 경우를 만나게 됩니다.
20억이 10억이 되는 것을 보고 멘털이 정상일 사람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다시 만회하기 위해서 무리하게 단타를 하다 남은 돈 마저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MDD가 50%가 넘는 퀀트 전략은 쓰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것일까요?
아니죠!! 그럼 MDD를 줄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정적 자산배분 전략
첫 번째 방법으로는 정적 자산배분 전략입니다.
자산배분 전략은 이름에서도 유추해볼 수 있듯이 자산을 배분한다는 것입니다.
"아~~ 저는 그럼 자산배분을 하고 있네요!! 주식 투자 종목이 5개나 있거든요!"
아쉽게도 5개를 보유하든 100개를 보유하든 MDD 50%를 피해 갈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주식이라는 자산군 하나에만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퀀트 PER PBR 전략도 주식이라는 자산군에만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종목을 20개를 보유해도 MDD 50%가 나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투자 자산군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대표적으로 회사채, 국채와 같은 자산이 있습니다.
그리고 부동산(리츠)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조금 더 생각을 해보면 금/은과 같은 투자 자산도 있습니다.
요즘에 크게 급부상한 코인도 자산이라고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미술품도 자산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이 투자 자산이라고 불리는 놈들의 가장 큰 특징은 가격이 장기적으로 우상향 한다는 점입니다.
가격이 상승하지 않는 자산은 사실 자산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럼 이 특징을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투자 자산군 사이에는 재밌는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A 자산군이 크게 상승할 때 B 자산군이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대로 B 자산군이 상승할 때는 A 자산군이 하락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아까 이야기했던 두 자산군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자산군인데 단기적으로 하락하는 시기를 맞는 구간에서 서로의 상관성으로 크게 가격의 하락을 방어하게 됩니다.
그래서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자산군들 중에서 상관관계가 반대로 동작하는 자산군을 적당하게 분배하면 MDD를 확 낮출 수가 있습니다.
정적 자산 배분에 대한 구체적인 글은 이전에 작성되었던 글을 보시면 더욱 자세히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정적 자산 배분 글을 참고해주세요.
2022.06.28 - [정적 자산 배분] -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자산배분 총정리 - 자산배분시리즈 (1)
2022.06.30 - [정적 자산 배분] - [자산배분]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영구포트폴리오 - 자산배분시리즈 (2)
2022.06.30 - [정적 자산 배분] - [자산배분] 주식하면서 모르면 손해보는 영구포트폴리오 - 자산배분시리즈 (3)
2022.07.03 - [정적 자산 배분] - 금 투자 방법 총 정리 - 금 ETF, KRX 한국거래소 - 자산배분시리즈 (4)
2022.07.06 - [정적 자산 배분] - 올웨더포트폴리오 45년 중에 지금 시작하기 딱 좋은 이유 - 자산배분(5)
2022.07.06 - [정적 자산 배분] - 레이달리오 보다 수익률 높은 포트폴리오 만드는 방법 feat.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 - 자산배분(6)
2022.07.08 - [정적 자산 배분] - 레이달리오 보다 수익률 높은 포트폴리오 만드는 방법 (2) - 자산배분(7)
동적 자산배분 전략
동적 자산 배분 전략도 간략하게 설명하기에는 많은 내용들이 필요합니다.
이 지면에서는 개략적인 내용만 설명하고 동적 자산 배분 관련된 글들이 작성되면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동적 자산 배분 전략글은 쓰지 못해서 ^^;;
동적 자산 배분의 큰 패러다임은 아래와 같습니다.
같은 자산군이든 다른 자산군이 든 간에 추세적으로 가장 크게 우상향 하는 자산군에 투자를 진행하고 추세적으로 다른 자산군이 우상향 하는 자산군이 생긴다면 더 큰 추세를 형성한 자산군으로 옮겨서 투자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만약 투자한 자산군이 모두 추세적으로 우하향하고 있다면 안전 자산으로 옮겨가는 투자입니다.
간략하게 동적 자산배분 전략을 하나 소개해보겠습니다.
주식 자산군 S&P500을 추종하는 SPY에만 투자한 누적 수익 곡선입니다.
역시나 MDD가 -50%를 넘어갑니다.
만약 주식 종목 한 종목에만 투자했다면 -50%를 넘는 경우는 더 많았을 것입니다.
그럼 간단한 동적 자산 배분 전략을 하나 만들어 MDD를 줄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선택한 주식 종목은 SPY, EFA, EEM입니다.
SPY는 S&P500을 추종하는 미국 대표 주식 ETF입니다.
EFA는 선진국 MSCI 인덱스를 추종하는 선진국 주식 ETF입니다.
EEM은 신흥국 MSCI 인덱스를 추종하는 신흥국 주식 ETF입니다.
이 세 개의 주식 종목 중 추세가 가장 좋은 주식 자산군에 투자하고 3개의 주식 모두 수익률이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TLT ETF를 보유하도록 하였습니다. TLT는 미국 장기채입니다.
그랬을 때 아래 보이는 누적 수익 곡선을 보시면 MDD는 -27%로 줄었고 CAGR은 10.21%로 늘어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PY에 투자한 경우보다 CAGR은 높고 MDD는 반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계절성 전략
계절성 전략은 매우 쉽습니다.
주식 시장에서 유난히 안정적인 수익을 주는 달이 있다는 것입니다.
명확한 근거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전 세계적으로 11월 ~ 4월에 주식에 투자하면 큰 손실 없이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11월 4월에만 돌렸을 때 어떤 수익과 어떤 MDD가 나왔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ER PBR 전략을 11월 4월에만 적용시켜 돌렸을 때의 결과입니다.
MDD가 25.9%로 매우 낮아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매우 신기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주식이라는 것은 결국 사람이 하는 것이고 뚜렷한 증거가 없더라도 일정한 패턴을 보이기 시작한다면 그다음 해에도 비슷한 패턴을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렇게 MDD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위에 설명한 방법 말고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보았습니다.
동적 자산 배분과 계절성에 대한 심도 있는 글들을 더 연재해 보아야겠습니다.
여하튼 급하게 마무리를 해보자면 MDD를 줄여야만 손실을 방어할 수 있고 주식 투자가 편안한 마음에서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내가 예상했던 MDD를 만났을 때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자신만의 MDD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 꼭 적용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다음번 편에서는 제가 쓰고 있는 MDD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바이너리 퀀트 >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대 매수하지 말아야 할 종목 (0) | 2023.06.01 |
---|---|
나의 투자 전략 - MDD 낮추기 (1) | 2023.05.30 |
POR 팩터는 국내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1) | 2022.10.02 |
PSR 팩터는 국내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1) | 2022.10.02 |
PBR 팩터는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0) | 2022.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