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R 팩터를 사용하여 과연 국내 주식 시장에서 알파의 수익을 주는지가 궁금한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은 백테스트를 통해 POR 팩터를 검증해보고 투자 전략으로 사용할지 여부를 판단해보도록 하겠습니다.
POR 팩터를 살펴보기 전에 필자는 현재 여러 주식 팩터 검증 글을 연재 중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PER, PBR, PSR , PFCR 팩터가 과연 국내 주식 시장에서 알파의 수익을 주는 팩터인지 확인해보았습니다.
이 글을 읽기 전에 꼭 링크를 통해 읽고 오시기 바랍니다.
그럼 먼저 POR 팩터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번 낱낱히 파헤쳐 보러 가보시죠!!
목차 1. POR 팩터란 무엇인가? 2. 가설세우기 3. 백테스트 결과 4. POR 팩터 최종 결론 |
POR (Price to Operating-income Ratio) 팩터란 무엇인가?
POR의 약자부터 살펴 볼까요?
POR = Price to Operating-income Ratio입니다.
음..... 이것만 봐서는 감이 오질 않습니다.
좀더 살펴보시죠.
지금까지 살펴본 PER, PBR, PSR, PFCR 팩터 모두 무엇 대비 시가총액 구조였습니다.
P 시리즈들은 다 시가총액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POR 팩터도 무엇 대비 시가총액 구조일 것입니다.
POR 팩터의 무엇은 바로 영업이익입니다.
재무제표에서 영업이익을 간단하게 살펴볼까요?
기업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게 됩니다.
판매해서 벌어들인 수익을 매출액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무일푼에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제품을 만들기 위한 원재료 비용이 들게 되고 판매 활동을 위해 인건비 세금 광고비와 같은 관리비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가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영업이익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기업이 판매 활동을 통해 순수하게 남은 이익금을 말합니다.
당연히 기업은 돈을 버는 것이 목적입니다. 그렇다면 시가총액 대비 영업이익 크면 클수록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기업과 B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0억으로 같습니다.
그런데 A라는 기업은 1년 영업이익이 1000억입니다.
A기업 POR = 1000 / 1000 = 1
B 기업은 1년 영업이익이 500억이 입니다.
B 기업 POR = 1000/ 500 = 2
그렇다면 당신은 어느 기업이 좋아 보이시나요?
당연히 A기업입니다.
왜냐하면 시가총액을 그 기업의 가격이라고 본다면 A라는 기업과 B라는 기업은 같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A기업이 매년 500억을 더 벌어다 주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POR 지표를 통해 지표값이 낮으면 낮을수록 저평가되어 있고 가치가 높은 기업이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가설 세우기
시가총액 대비 영업이익인 POR이 낮은 기업은 가치가 매우 높고 저 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POR 팩터가 낮은 기업일수록 알파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가설을 세울 수 있습니다.
이 가설이 맞는지 백테스트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백테스트 결과
10 분위 값이 0이 나온 것은 POR이 음수 값이어서 필터가 되어 매수한 종목이 없었기 때문에 0이 되었습니다.
누적 수익률 / 연평균 수익률
누적 수익률과 연평균 수익률은 우상향 하다 9 분위 10 분위에서 수익률이 줄어드는 모양입니다.
분석을 해보면 10 분위에서 수익률이 없는 이유는 10분위에 해당하는 주식 종목에서 매수한 종목이 없기 때문에 수익률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10분위에 있는 주식 종목이 모두 음수 값을 갖고 있어 적자기업이기 백테스트 시 Filter를 통해 제외되었기 때문입니다.
9 분위 수익률이 적은 이유는 전체 거래종목수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전체 거래종목수가 매우 적은 것을 볼 때 9 분위 필터를 하위 20%에 높은 순서로 걸어서 모집단의 종목수가 매우 적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됩니다.
그래서 필터를 상위 90%에 낮은 순서로 걸어서 모집단을 늘려 보았습니다.
누적 수익률이 874.1이고 연평균 수익률은 16.7로 매우 높게 나왔습니다.
그래서 POR 값이 낮을수록 높은 수익률을 주는 데이터를 뽑을 수 있었습니다.
POR 팩터 최종 결론
백테스트를 진행할 때 필터를 걸 때 상위 필터를 걸고 낮은 순서로 정렬을 해서 데이터를 뽑아야 좀 더 정확하게 데이터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여하튼 처음 세웠던 가설대로 POR값이 음수인 종목들은 제외하고 낮은 값들의 종목들이 높은 수익률을 준다는 것을 이번 백테스트를 통해서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국낸 주식 시장에서 퀀트 전략을 짤 때 POR 팩터를 사용하면 매우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읽어보면 좋은 글
PER 팩터는 주식 시장에 여전히 유효한가?
PER 팩터란 무엇인가? PER 팩터가 여전히 주식 시장에서 유효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PER 팩터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고요. PER은 위에 공식처럼 구하게 됩니다. 의미를 살펴보도
quantjs.tistory.com
PBR 팩터는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PBR 팩터는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저번 시간에는 PER 팩터가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지 알아보았습니다. 아직 보시지 못했다면 아래 글을 꼭 읽어보고 오시기 바랍
quantjs.tistory.com
PSR 팩터는 국내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퀀트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팩터를 검증해보고 적용해야 합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PER 팩터, PBR 팩터에 대해서 검증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PSR 팩터가 과연
quantjs.tistory.com
PFCR 팩터는 국내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PFCR 팩터는 과연 국내 주식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팩터인지 백테스트를 통해 결과를 내보려고 합니다. 팩터 백테스트하기 귀찮으신 분들 빨리 결과를 알고 싶으신 분들은 이 글 하나면 모두
quantjs.tistory.com
'바이너리 퀀트 >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의 투자 전략 - MDD 낮추기 (1) | 2023.05.30 |
---|---|
주식 손실을 줄이는 방법 feat. MDD 줄이기 (2) | 2022.10.03 |
PSR 팩터는 국내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1) | 2022.10.02 |
PBR 팩터는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0) | 2022.10.02 |
소형주 백테스트시 슬리피지 얼마면 될까? feat. 퀀트투자 (6) | 2022.10.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