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 팩터란 무엇인가?
PER 팩터가 여전히 주식 시장에서 유효한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PER 팩터가 무엇인지부터 알아보자고요.
PER은 위에 공식처럼 구하게 됩니다.
의미를 살펴보도록 합시다.
시가 총액은 그 기업을 돈 주고 산다고 했을 때 얼마 큼의 돈이 필요한지 알 수 있습니다.
당기순이익은 그 회사가 1년 동안 열심히 벌어서 세금 내고 빚 갚고 인건비 주고 원재료비 다 정산한 후 남은 돈, 즉 순수하게 번 이익을 의미합니다.
그럼 시가총액이 1000만 원입니다. 당기순이익은 100만 원입니다. PER은 10이 되겠죠?
그렇다면 이 회사는 매년 100만 원씩 번다고 가정했을 때 10년 뒤면 이 회사를 살 수 있다고 볼 수 있겠죠?
그래서 사람들이 보통 PER 10 이하면 저평가되어 있다고 보고 가치주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신약 개발하는 신생 회사 같은 경우에는 여기저기 투자하고 판매되는 상품은 없기 때문에 당기순이익 매우 작습니다.
그래서 이런 성장하는 기업들은 PER이 20이 훌쩍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기업인 경우에는 보통 성장주라고 표현합니다.
PER 팩터 가설 세워 보기
그럼 PER 팩터를 가지고 가설을 세워봅시다.
PER이 1인 A 주식회사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A 주식회사를 시가총액만큼의 돈으로 이 회사를 매수한다고 하면, PER이 1이기 때문에 1년 뒤면 본전을 뽑을 수 있게 됩니다.
느낌이 어떤가요? 이 회사 투자할만하지 않나요?
2년 뒤부터는 투자금액은 이미 다 갚았고 계속 수익이 생기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가설을 이렇게 세워보는 건 어떨까요?
PER이 낮은 기업일수록 수익률이 높다라고 가설을 세워 보겠습니다.
과연 어떤 백테스트 결과가 나올지 궁금해집니다.
PER 팩터 백테스트 결과
2008년부터 2022년까지 14년 동안의 PER 백테스트 결과입니다.
10 분위 테스트를 하고 싶었는데 퀀트킹으로는 10 분위 테스트가 어려워서 최대한 구간을 잘 나누어서 테스트해보았습니다.
혹시 퀀트킹에 대해서 모르신다면 아래 글을 꼭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quantjs.tistory.com/37
퀀트킹 백테스트 프로그램 퀀트 투자시 꼭 필요한가요?
'퀀트킹' 넌 정체가 무엇이냐? 퀀트 투자에 대해 이전 글에서 소개한 바가 있습니다. 퀀트 투자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면 아랫글을 꼭 읽어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https://quantjs.tistory.com/36 퀀트
quantjs.tistory.com
PER 팩터 누적 수익률 / 연평균 수익률 / 월평균 수익률
제일 궁금했던 결과겠죠?
그럼 테스트 결과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누적 수익률과 연평균 수익률과 월평균 수익률을 보면 가설을 세운대로 PER이 낮을수록 높은 수익률을 주고 있습니다.
PER이 낮아질수록 수익률이 높아지는 선형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아 매우 유의미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자료가 될 것 같습니다.
연평균 수익률 CAGR이 안 좋은 구간은 PER이 100 이상인 구간과 PER이 0 이하인 구간이네요.
아예 수익을 얻지 못했습니다.
PER이 음수인 경우는 당기순이익이 적자인 기업을 의미합니다.
성장주에 해당하는 구간들은 저조한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가장 수익이 좋은 구간은 0.8 이상 9 이하 구간이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PER 10 이하의 가치주가 큰 수익률을 주는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PER 팩터 MDD
MDD 부분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0 이상 0.8 이하 부분이 두드러지게 높다는 점입니다.
연평균 수익률에서 보아도 0 이상 0.8 이하 부분에서 급격하게 수익이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월평균 수익률에서 보면 이 구간이 가장 높은 수익을 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이 구간은 저평가라기보다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저평가되어있다고 보는 것이 적당할 것 같습니다.
가치주와 싸구려주가 같이 있는 구간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PER 팩터 최종 결론
처음 세웠던 가설로 돌아가 보죠.
PER이 낮은 기업일수록 수익률이 높다라고 가설을 세웠습니다.
얻은 데이터를 분석해본 결과 성장주보다는 가치주가 더 좋은 수익률을 보여주었으며, PER 0 이상 0.8 이하 구간에서는 가
치주와 싸구려주가 같이 혼재되어 있으므로 0.8 이하 구간은 수익률이 좋지 않다고 결론 지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바이너리 퀀트 > 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PBR 팩터는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0) | 2022.10.02 |
---|---|
소형주 백테스트시 슬리피지 얼마면 될까? feat. 퀀트투자 (6) | 2022.10.02 |
퀀터스 백테스트 프로그램 현재 무료! feat. 연복리율 63% 전략 (1) | 2022.10.02 |
주식 손실 났네... MDD만 알았더라면... feat. 퀀트 투자 (3) | 2022.10.01 |
PFCR 팩터는 국내 주식 시장에서 여전히 유효한가? (0) | 2022.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