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너리 퀀트/퀀트

소형주 백테스트시 슬리피지 얼마면 될까? feat. 퀀트투자

by 바이너리 퀀트 2022. 10. 2.

 

1. 슬리피지 (Slippage)란 무엇인가?

퀀트 투자를 하다 보면 슬리피지(Slippage)에  대해서 자주 접하게 됩니다.

처음 접했을 때의 느낌은 뭐 그냥 수수료나 세금의 합산을 이야기하는 건가 싶었습니다.

그런데 전혀 아니더라고요.

퀀트 투자에서 말하는 슬리피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시죠.

퀀트 투자를 하게 되면 툴을 이용하든 엑셀을 이용하든 백테스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제가 사용하는 백테스트 툴에서 매수 매도 거래를 하게 될 때 종가에서 거래가 되었단 가정하에 매수 매도 거래를 진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면 백테스트 진행 시 리밸런싱을 하기 위해 가지고 있던 A종목의 주식을 매도하게 된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럼 리밸런싱 하는 날의 A종목을 종가 개념으로 매도한다고 가정하게 됩니다.

A종목의 종가가 만원이었으면 이날 자신이 가지고 있던 A종목의 주식을 모두 만원에 매도했다고 가정하는 것입니다.

소형주 백테스트시 슬리피지 얼마? feat. 퀀트투자

그럼 실제 투자를 진행하면서는 어떻게 될까요?

천천히 살펴보도록 합시다.

리밸런싱을 하기 위해 D-day 하루 전 날 퀀트 전략을 통해 리밸런싱 할 종목들을 선정하게 됩니다.

그럼 D - 1 날의 종가의 가격으로 리밸런싱을 진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D-day날 장이 시작하게 되면 주가는 생물인지라 마구 변동을 주며 움직이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결국에는 D-1 날의 종가 가격으로 리밸런싱을 진행하지 못하고 가격이 떨어져서 이득을 보고 매수하게 되거나 가격이 올라서 손해를 보고 매수하게 됩니다. 

매도도 물론 가격이 떨어져서 손해를 보거나 가격이 올라서 이득을 보고 매도하게 됩니다.

이렇게 투자자가 D-1의 종가로 체결하기를 원했지만 실제로 D-day날 체결된 가격에서 괴리가 발생하며 이것을 슬리피지라고 합니다.

 

2. 슬리피지가 강하게 나타날 때는?

슬리피지가 강하게 나타날 때는 소형주를 투자할 때가 가장 심하게 두드러집니다.

소형주는 대형주에 비해 유동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유동성이 떨어진다는 의미는 호가창을 보게 되면, 호가에 매수자와 매도자가 주식 주문을 걸어놓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슬리피지(Slippage) 호가창
슬리피지(Slippage) 호가창

 

위 그림에서도 77400원과 77300원에 매도자와 매수가 아무도 주문을 걸어놓지 않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런 호가창 상황에서 투자자가 77300원에 매수하려고 했는데 유동성이 떨어져서 77500원에 비싸게 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죠.

그럼 슬리피지는 (77500/77200-1)*100 =0.39%의 슬리피지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처럼 소형주 투자를 하게 된다면 백테스트 시 슬리피지를 잘 적용하여 진행해야만 합니다.

그래야 백테스트와 실제 전략과의 괴리가 발생하지 않게 됩니다.

 

3. 슬리피지가 뭔 대수냐? 몇 퍼센트 안 하는 구만!!

슬리피지는 잘 보이지는 않지만 정말 매우 큰 비용입니다.

백테스트를 진행 시 같은 전략에서 슬리피지만 변경하여 CAGR과 MDD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전략은 14년간 월간 거래한다고 설정하였습니다.

사용한 툴은 퀀트킹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진행하였습니다.

퀀트킹 프로그램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2.08.05 - [퀀트] - 퀀트킹 백테스트 프로그램 퀀트 투자시 꼭 필요한가요?

 

퀀트킹 백테스트 프로그램 퀀트 투자시 꼭 필요한가요?

'퀀트킹' 넌 정체가 무엇이냐? 퀀트 투자에 대해 이전 글에서 소개한 바가 있습니다. 퀀트 투자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면 아랫글을 꼭 읽어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https://quantjs.tistory.com/36 퀀트

quantjs.tistory.com

 

 

슬리피지가 0.5% 일 때의 연평균 수익률 CAGR은 35.1%입니다. MDD는 35.8%입니다.

 

같은 전략에서 슬리피지만 1%로 변경했습니다.

그러니까 CAGR은 3%가 줄었고 MDD가 2.8%가 늘어났습니다. 

같은 전략에서 슬리피지만 2%로 변경했습니다.

그러니까 CAGR은 26.3%로 엄청나게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DD도 43.4%로 엄청나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짧은 주기의 거래도 아닌 월간 거래에서도 슬리피지의 영향이 매우 큰데 잦은 거래를 할 경우에는 슬리피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습니다.

 

4. 퀀트로 소형주 투자를 하고 있는데 백테스트 진행 시 슬리피지를 얼마나 주어야 할까요?

퀀트를 하게 되면 소형주의 성과를 보게 되면 매우 놀라게 됩니다.

아래 글은 소형주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꼭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

2022.08.06 - [퀀트] - 국내 주식 투자 하는데 소형주 투자 안한다고?? (feat. 퀀트)

 

국내 주식 투자 하는데 소형주 투자 안한다고?? (feat. 퀀트)

퀀트 투자 시작 퀀트 퀀트 이제 퀀트 투자를 해봅시다~ㅎ 퀀트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주식 시장을 이길 수 있는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런데요 '저는 완전 생 초보

quantjs.tistory.com

 

소형주 투자 시 사람마다 매매 방식이 다 다르기 때문에 딱 정해진 슬리피지는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는 제 경험상 얼마로 하면 적당 할지를 제가 운용해보면서 나왔던 슬리피지를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필자는 퀀트 전략 2개를 만들어서 운용 중에 있습니다.

전략 2개 모두 다 시가총액 하위 20%의 필터를 적용하여 소형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2개를 운용 중에 있습니다.

최근에도 포트폴리오 2개를 리밸런싱을 진행했는데요.

1개의 포트폴리오에서는 0.68%의 슬리피지가 나왔으며, 다른 하나의 포트폴리오에서는 1.48% 정도의 슬리피지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그 이전에 슬리피지 결과들을 종합해 본다면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보수적으로 수수료 및 세금 포함 2% 정도의 슬리피지를 잡으면 적당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투자를 진행하시면서 자신의 슬리피지를 꼭 계산해 보시고 적당한 슬리피지를 적용하여 백테스트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댓글